D 교육 서비스사
교육수강 성과와 임직원 인사 특성과의 연관성 분석
.png?queryString=20230911015314)
"자체 보유 데이터와 고객사 임직원의 인사 데이터 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발굴하여 고객사에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D 교육 서비스사Challenge
과거와 달리 교육수강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어, A사(고객사) 맞춤형 교육 컨텐츠 개발 또는 교육 신청 모델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D사 교육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고, 학습 효과의 성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 D사 자체 보유 데이터 외에도, A사가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A사의 개인 정보를 활용할 수 없어 다른 대안이 필요하였습니다.
Solution
D사는 보유한 교육정보(교육시간, 접속기기, 접속방법, 관심정보 등)를 가명 처리하여 결합전문기관을 통해 데이터결합을 진행
· D사: 접속로그, 시청시간, 관심키워드, 반응정보, 수료정보 등
A사는 임직원의 인구특성과 역량정보, 자격취득정보를 가명 처리
· A사: 연령, 직급, 직무, 성별, 자격 취득정보, 승격정보 등
교육정보 - Segmentation Recommendation -인사정보
Benefit
- D사 보유 데이터와 A사 임직원의 인사 특성을 데이터결합을 통해서 하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 학습자의 특성, 자기 주도 학습, 능동성 등
- 데이터 결합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발굴하여 A사에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교육 성과 확인 및 보완점을 도출을 통해 역량 강화에 기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