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와 멀티클라우드 시대, 인증 및 계정 관리 체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 2025-04-30
- 작성자 한현희, 김대용 | 삼성SDS 보안솔루션팀

AI와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으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보안'입니다. 특히 멀티클라우드 환경과 생성형 AI 도입이 늘어나는 가운데, 클라우드 통합인증, 계정관리 자동화, 제로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번 백서는 삼성SDS 'Cloud Talk' 웨비나에서 소개한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서 기업들이 직면한 인증 및 계정 보안 문제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SingleID 기반의 통합인증 체계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이 백서는 “삼성SDS Cloud Talk” 웨비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생성형 AI 도입과 함께 바뀌는 '인증'의 역할
이제 AI는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닌 '에이전트(Agent)'로서 기업 업무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에이전틱 AI(Agentic AI) 환경에서 중요한 것은, 사람이 아닌 AI 에이전트에도 안전한 접근 권한을 어떻게 줄 것인가입니다. 기존의 단순 패스워드 기반 로그인으로는 이 복잡한 연결 구조를 감당할 수 없습니다. AI가 호출하는 백엔드 API, 클라우드 자원, 업무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인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통합인증 체계, 역할 기반 권한 관리(RBAC), 행위 기반 이상탐지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클라우드 전환이 만든 인증 보안의 취약 지대
AI 못지않게 기업의 인증 전략을 흔들고 있는 또 다른 요인은 '클라우드 전환'입니다. 기업들은 단일 클라우드를 넘어서 AWS, Azure, GCP, SCP 등 멀티클라우드 전략을 택하고 있고, 기업의 핵심 시스템과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클라우드 전환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증 체계도 점점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기업 보안 담당자의 실질적인 어려움
-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클라우드 계정 분산 문제
- 클라우드 계정/비밀번호 유출 및 권한 오남용에 대한 보안 취약 우려 증가
- 클라우드 콘솔, 자원, SaaS 애플리케이션 간 모니터링 단절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통합 거버넌스 부재
SingleID: AI/클라우드 통합인증과 계정관리를 한 번에
삼성SDS SingleID는 클라우드 기반 SaaS형 통합인증 솔루션으로, 기업 보안과 인증 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핵심 기능 요약:
- SSO 기반 통합인증 및 계정 프로비저닝(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OIDC: OpenID Connect, SCIM:System for Cross-domain Identity Management 지원)
- 지문, OTP, 이메일, 카카오 인증 등 복합 인증 구성 시나리오 지원
- 클라우드 콘솔 접근 제어: AWS, Azure, GCP 등 콘솔 접근 통합
- 클라우드 자원 접근 제어: OTP 기반 시크릿 노출 방지 접속
- 이상행위 탐지 및 계정/인증/콘솔/자원 통합모니터링 대시보드 제공
(성공 사례) AI/클라우드 환경에 SingleID를 적용한 기업
글로벌 IT 기기 제조사: 생성형 AI 도입과 인증 통합의 모범 사례
고객은 생성형 AI의 SaaS 도입을 추진하며 내부 Active Directory와 인증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SDS SingleID를 도입하여 기존 로그인 환경을 유지하면서 SSO 기반 AI 서비스 접근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복합 인증 체계를 적용하고, 네트워크 접근 경로를 통제하며, 권한 승인-요청 체계 자동화했습니다. 이러한 구현으로 대규모 조직에서도 외부 AI 도입이 보안 사고 없이 빠르게 이루어졌고, 역할 기반 권한 관리 체계(RBAC: Role-Based Access Control)가 강화되어 AI 거버넌스 기반 구축이 가능해졌습니다.
글로벌 제조기업: 멀티클라우드 인증 통합으로 보안 가시성 확보
고객은 부서별로 다양한 CSP를 활용하며 7~8개 이상의 클라우드 계정을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계정 전환이 불편하고 보안 위험이 증가하여 관리 부담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SDS SingleID를 도입하여 하나의 인증 관문에서 모든 CSP 콘솔 접속을 통합했습니다. 사용자에게는 역할 기반 최소 권한(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만 부여되도록 제한하였으며, 클라우드 자원 접속은 OTP 기반 임시 토큰 발급 방식으로 전환했습니다. 또한, 모든 인증/접속 이력은 단일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클라우드 거버넌스가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계정 및 인증 보안 전략 수립을 위한 4가지 가이드
-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기반 계정/인증 통합관리 체계 구축
- AI 에이전트, 멀티클라우드, 협력사 사용자를 포함한 전 범위 통제
- 글로벌 인증 표준 도입
- SAML, OIDC, SCIM 등을 통한 서비스 간 연계성 강화
- 클라우드 거버넌스 모니터링 자동화
- 인증 요청부터 콘솔 접근, 자원 제어까지 통합 대시보드 제공
- 멀티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인증 및 접근제어 체계 확보
- 모든 CSP 환경 통합 관리로 사용자 편의성+보안 강화
AI/클라우드 계정/인증 통합관리 전략은 '지금' 수립해야 합니다
AI, 멀티클라우드, SaaS 업무 환경으로 전환이 가속화되는 지금, 계정과 인증의 체계적 관리는 단순한 IT 과제가 아니라 전사 보안 전략의 시작점입니다. 삼성SDS SingleID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수준의 계정 및 인증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금 귀사의 인증 환경, 새로운 시대에 걸맞게 준비되어 있습니까?
AI 및 클라우드 보안 전략이 궁금하다면, 삼성SDS 전문가와 함께 귀사의 인증 시스템을 점검해 보세요.
👉 전문가 상담 신청하기
- 한현희 | 삼성SDS 보안솔루션팀
- 편리하고 친숙한 보안'을 지향하며 이에 대한 해법을 IAM(인증/계정/권한) 그리고 AI에서 찾고자 노력합니다. 해킹 대응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해외기관들을 대상으로 컨설팅/세미나/기술지원을 수행해 왔으며 고객의 입장에서 최선의 해법을 도출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연구해 나가고 있습니다.
- 김대용 | 삼성SDS 보안솔루션팀
- 대외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보안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보안 AI 솔루션 도입 컨설팅 및 구축 프로젝트를 담당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라우드 통합인증 및 콘솔/자원 접근제어, 통합 모니터링 체계 구현에 대한 서비스 개발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