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Industry Insights]
마이데이터와 디지털 금융 혁신

마이데이터와 디지털 금융 혁신

데이터산업 정책 및 비즈니스 이슈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경계를 넘어선 분야 간 융·복합 패러다임은 데이터와 디지털 혁신 부문에도 어김없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데이터 3법, 디지털 뉴딜 등 정부의 데이터산업 추진 정책과 코로나19 팬데믹이 낳은 언택트 일상의 변화는 비대면·비접촉 채널 확산, 디지털 전환, 스마트 서비스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 방식을 생성하고 디지털 기술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EU를 비롯한 주요국은 디지털 개인정보의 적극적 보호뿐만 아니라 주권 행사를 기반으로 하는 합법적인 활용에 선도적인 자세를 취하고 데이터를 융합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020년 8월 데이터 3법이 시행되면서 기업이 보유한 개인정보에 대한 합법적인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많은 기업들이 마이데이터를 비롯한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서비스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산업 정책 및 비즈니스 이슈 중에서 마이데이터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데이터산업 정책 이슈 Top 5
  • 1위: 데이터3법 시행으로 인한, 한국 데이터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2위: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 데이터 댐 프로젝트 추진
  • 3위: 전세계 모범사례로 인정받는 한국의 데이터 K-방역
  • 4위: 한국 공동데이터 정책, 3년 연속 OECD 1위
  • 5위: 데이터 분석 인력 양성 및 일자리 고용 정책 확대 추진
국내 데이터산업 비즈니스 이슈 Top 5
  • 1위: 데이터 민간 기업, 마이데이터 실증 사업 본격 참여
  • 2위: 국내외 IT 기업, 데이터 센터 확보 경쟁 심화
  • 3위: 증가하는 데이터-헬스케어 융합 사례
  • 4위: 데이터 기술, 코로나 19 예측 및 예방에 활용
  • 5위: 스마트 팩토리, 프로젝트 및 협력 사례 급증
[그림 1] 국내 데이터산업 정책 이슈 Top 5 및 국내 데이터산업 비즈니스 이슈 Top 5
(출처: 「DATA ECONOMY, Global News Trends in Korea」,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0.12)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 및 전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1년 3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는 19조 원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이 9.3조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7.4조 원,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2.4조 원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CAGR '18 ~ '20(E) 11.3% (단위: 억 원)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 공급업
  • 2010년: 6725, 2011년: 8717, 2012년: 10487, 2013년: 10789, 2014년: 13619, 2015년: 14124, 2016년: 15720, 2017년: 16457, 2018년: 18617, 2019년: 20805, 2020년(E): 24623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 2010년: 37407, 2011년: 43180, 2012년: 47715, 2013년: 49985, 2014년: 53730, 2015년: 55280, 2016년: 55850, 2017년: 58894, 2018년: 61290, 2019년: 65412, 2020년(E): 74361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 2010년: 42242, 2011년: 43218, 2012년: 47317, 2013년: 52258, 2014년: 57329, 2015년: 64151, 2016년: 65977, 2017년: 68179, 2018년: 75778, 2019년: 82364, 2020년(E): 93752
전체
  • 2010년: 86374, 2011년: 95115, 2012년: 105519, 2013년: 113032, 2014년: 124678, 2015년: 133555, 2016년: 137547, 2017년: 143530, 2018년: 155684, 2019년: 168582, 2020년(E): 192736
[그림 2] 2010~2020년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 (*E: Estimate)
(출처: 2020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3)

향후 데이터산업 시장은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격화 등에 힘입어 2020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1.3%에 달하는 성장세를 보이면서 2026년 36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CAGR '20(E) ~ '26(P) 11.3% (단위: 억 원)
  • 2020년(E): 192736, 2021년(P): 214515, 2022년(P): 238755, 2023년(P): 265735, 2024년(P): 295763, 2025년(P): 329184, 2026년(P): 366382
[그림3] 2020~2026년 데이터산업 시장 전망 (*E: Estimate, P: Provisional)
(출처: 2020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3)

디지털 금융 패권 전쟁의 시작

마이데이터를 통한 데이터 개방과 이동권이 보장되면서 최적의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고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문에 금융 기업 간 생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미 다수의 핀테크 기업들이 정부의 지원 아래 IT와 모바일 환경을 활용하여 개인종합 자산관리, 온라인 결재, 송금, 대출 비교 및 보험 컨설팅 서비스 등 디지털 금융 분야에 적극 진출해 성과를 내면서 금융 서비스가 더 이상 전통적 금융 시장의 전유물이 아님을 증명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 - 데이터 - IT를 융합한 디지털 금융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021년 8월부터 표준 API 기반의 마이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2021년 1월 마이데이터 사업자 허가를 받은 28개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 플랫폼을 활발하게 구축 중에 있습니다. 전통적인 금융 기업들도 기존 자사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채널'을 확장하여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고도화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양상입니다.

   

다수의 핀테크 기업들이 시장에 안착하면서 금융 서비스는 더 이상 전통적 금융 시장의 전유물이 아님을 증명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 - 데이터 - IT'를 융합한 디지털 금융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금융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 참조 모델

마이데이터에 대한 시장 기대가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마이데이터 서비스만으로 차별화된 디지털 혁신을 완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모든 마이데이터 사업자에게 동등한 표준 API 방식으로 제공되는 신용 데이터는 '종합자산관리', '상품추천' 등과 같은 콘텐츠로 이는 어느 사업자든 서비스 내용이 대동소이 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객이 느끼기에 매력도 높은 차별화 콘텐츠가 없다면 금융 플랫폼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고객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디지털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요? 그 답은 '마이데이터 플랫폼'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의 연계와 데이터 융합에 있습니다.

1. 마이데이터 플랫폼
  • 데이터 제공, 데이터 수집, 마이데이터 통합DB, 마이데이터 서비스
  • 마이데이터 사업자
  • 데이터 제공기관 - 금융기관(은행, 카드, 보험, 금투), 중계기관, 공공기관, 기타 분야(의료, 통신, 유통/서비스)
  • 고객
2. 빅데이터 플랫폼
  • DataLake, Data Discovery(분석/모델링), 고객 이해 Insight 및 서비스 발굴
  • 레거시 내부데이터
  • 제휴/협력사 외부데이터
3.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 Marketing Data, CRM 타겟마케팅, 실시간 마케팅, 고객경험 시나리오, 발송/오퍼링 실행
[그림4] 디지털 금융 혁신 비즈니스 참조 모델
(출처: 에스코어 데이터컨설팅팀)

[그림 4]는 에스코어가 제시하는 디지털 금융 혁신 참조 모델입니다. 마이데이터를 포함한 기업 대내외 데이터를 모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 및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찾아내 개인화 서비스와 콘텐츠를 발굴하는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과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와 디지털 마케팅 데이터를 융합하여 고객 행동·경험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 프로세스가 적시에 실행되는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금융 시장 판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백화점식 서비스로는 더 이상 고객의 관심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입체적이고 연결된 사고로 메가 트렌드를 담아내는 플랫폼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해야 합니다. 바로 마이데이터와 빅데이터, 그리고 디지털 마케팅을 연계하고 데이터 융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References
[1] DATA ECONOMY, Global News Trends in Korea,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0.12.
[2] 2020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3.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기고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이 글이 좋으셨다면 구독&좋아요

여러분의 “구독”과 “좋아요”는
저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subscribe

구독하기

subscribe

강수영
강수영 디지털 금융 전문가

에스코어(주) 컨설팅사업부 데이터컨설팅팀

금융·공공 분야 데이터 서비스, DW, CRM 및 정보 업무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