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는 무엇일까요?
핵심 요약
퍼블릭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제3자 제공업체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공유 인프라를 사용합니다. 비용 절감, 높은 확장성, 전문적인 관리를 제공하지만, 보안과 네트워크 의존성 등의 고려사항이 있습니다.
목차
퍼블릭 클라우드의 개념을 알아봅시다.
퍼블릭 클라우드란, 공공 클라우드 또는 개방형 클라우드라고도 불리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방식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형태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데이터 센터에서 호스팅 되며, 다수의 사용자가 이를 공유합니다. 즉, 너와 나, 우리 모두 제약 없이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대규모로 확장할 수 있으며, 요구 사항에 따라 자원을 증가 또는 축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인프라, 플랫폼 또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제공하므로 기업이나 개인이 자체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습니다.
쉽게 이해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0편: DT의 핵심 기술 클라우드(2) 인사이트 리포트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식을 집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선을 넘지 않을 훌륭한 고용인을 누군가 선발해 주고 관리해 주면서 내 프라이버시도 완벽하게 지키고 싶다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식 중, 프라이빗(Private)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프라이버시와 층간 소음 문제는 좀 포기하더라도 저렴한 관리비에 쾌적한 생활을 원한다면 아파트에 해당하는 퍼블릭(Public)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면 복합형인 하이브리드(Hybrid) 모델을 채택해야 할 겁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v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아파트처럼 공유 인프라를 사용하여 비용 효율적
-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단독주택처럼 전용 인프라로 보안성과 통제력 확보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두 방식을 조합하여 유연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
전문가가 정의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란?
[가트너 정의]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을 확장 가능하고 탄력적인 IT 지원 기능이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 고객에게 서비스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로 정의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멀티테넌트 모델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이는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물리적 인프라를 공유하지만, 가상화 기술을 통해 각자의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분리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여 제공 업체 조직 외부의 고객을 지원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비용을 절감하고 기술 선택을 늘릴 수 있는 리소스 공유 및 규모의 경제 유형이 생성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을 알아볼까요?
(1)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 투자 비용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기존 온프레미스 인프라 구축 시 필요한 하드웨어 구매, 설치, 유지보수에 드는 막대한 초기 비용을 사용량 기반 요금제(Pay-as-you-use)로 대체할 수 있어 특히 중소기업에게 유리합니다.
(2)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을 보장합니다.
여러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여러 대의 서버를 구성하여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입니다. 멀티 테넌시를 지원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연한 인프라 스케일링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인프라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들은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여 99.9% 이상의 높은 가용성을 보장하며, 트래픽 급증 시에도 자동으로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3) 전문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 업체는 자원의 업데이트와 유지 보수를 책임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 전문가들이 인프라를 모니터링하고, 최신 기술과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IT 인력 없이도 엔터프라이즈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사용이 쉽고 편리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전 세계 어디에서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복잡한 설치나 설정 과정 없이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해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빅데이터 분석, IoT 등 최신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개별 기업이 직접 구축하기 어려운 고비용의 첨단 기술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볼까요?
(1) 보안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고 저장되기 때문에, 해커의 공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퍼블릭 클라우드 보안은 공동 책임 모델을 따릅니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인프라 보안을 책임지고, 고객은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담당합니다. 적절한 보안 정책과 암호화를 적용하면 온프레미스보다 더 높은 보안 수준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공동 책임 모델이란?
- 클라우드 제공업체: 인프라, 물리적 보안, 네트워크 보안
- 고객: 데이터 암호화, 접근 권한 관리, 애플리케이션 보안
(2)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제한이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제공 업체가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성과 관련된 제한을 받게 됩니다.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만약 인터넷 연결이 끊어진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됩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리거나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초기 비용이 저렴하더라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소스 사용량을 적절히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체계적인 비용 관리와 최적화 전략이 필요합니다.
(4) 데이터 거버넌스 및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특정 산업이나 지역의 데이터 보호 규정(GDPR, HIPAA 등)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와 처리 방식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클라우드 제공업체와 리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우드 도입이 고민이신가요?
퍼블릭 클라우드의 모든 장점을 더 안전하게! 삼성SDS가 검증된 보안 기술로 여러분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합니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인 삼성SDS의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 Samsung Cloud Platform, SCP을 만나보세요!
삼성SDS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을 받아 중요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정부 기관과 공공업무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을 아티클